번호 | 교과목 |
---|
인체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골격계의 구조와 형태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며, 연관 학문의 이해를 돕는 기초 지식을 마련한다.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조직, 기관의 형태 및 구조, 그리고 운동과 관련된 이들 상호간의 생리, 생화학적 작용과 운동의 효과를 이해한다.
보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보건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여 건강의 개념, 보건제도 및 정책, 환경문제, 질병예방, 인간행동의 장애, 의료서비스등 보건과 관련된 전반적인 이해의 폭을 넓힌다.
정상인과 비만자와의 체력수준, 건강상태, 연령,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운동요법을 통한 비만관리를 목적으로 운동요법의 처방의 하나로 체형을 바르게 유지함으로 전반적인 생체의 건강리듬을 유지하도록 한다.
의사소통, 대중매체 및 위기정보전달에 관한 이론을 소개하며 보건의사소통의 구성요소와 내용을 학습한다. 생활양식과 행위의 변화를 유도하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필요한 대상별 의사소통 형태 및 경로를 선별하고, 보건정보전달에서 대중매체 활용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능력을 기른다.
건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신체적인 건강을 비롯하여 정신적, 사회적, 영적, 사회적으로 건강한 인격체 완성을 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해보고 필요한 운동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정상인과 비만자와의 체력수준, 건강상태, 연령,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운동요법을 통한 비만관리를 목적으로 운동요법의 처방의 하나로 체내 축적 지방의 산화를 통한 체중감소와 더불어 식이요법을 병행한 다이어트를 한다.
정상인과 비만자와의 체력수준, 건강상태, 연령,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운동요법을 통한 비만관리를 목적으로 운동요법의 처방의 하나로 체내 축적 지방의 산화를 통한 체중감소와 더불어 식이요법을 병행한 다이어트를 한다.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계획, 개발, 실시, 평가에 대한 과정과 방법을 학습한다. 지역사회의 요구 사정, 우선순위 결정 및 계획서 작성방법, 보건교육의 내용, 프로그램 및 교수방법 등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중재방법 및 사회조사의 중요성을 이해시킨다.